AWS의 Elastic Beanstalk을 활용한 무중단 CICD 튜토리얼의 과정 1 입니다!
요약
vpc -> subnet(public*2, private*2) → internet gateway(→ attach to vpc) → route table(→ public subnet 연결) → secuity groups(→ Inbound rules)
1. VPC 만들기
=>
dns settings도 변경해주자. 그래야 나중에 rds 만들 수가 있다.
2. subnet 만들기
만든 vpc 선택해주고
public 2개 private 2개 만들자. 가용영역은 a, c로 나눠주자!
=>
3. internet gateway 만들기
이름만 설정해주면 만들어진다.
=>
위 attach to vpc를 눌러 vpc에 연결해주자.
=>
4. public subnet 위해서 라우팅 테이블 만들기
현재 10.0.0.0/16 인바운드만 있어서 아웃바운드도 만들어주자
=>
서브넷 연결도 편집해주자
이렇게 라우트 테이블에서 서브넷 연결해줘서 실질적 public 서브넷을 만든 것이다. 남아있는건 private로 남아있는 것.
5. 보안그룹 생성
인바운드 규칙 편집
ssh: 원격접속 해야 하니까 / http: 웹 서버니까 열어줌 / https: 보안 / tcp: spring boot니까 8080 / mysql: 해당 db 쓸꺼니까
완성된 vpc
다음단계
https://persi0815.tistory.com/37
[DevOps] CICD 구축 전과정 2. Elastic Beanstalk 설정 (+IAM)
1. elastic beanstalk 기초 설정차근차근 무중단 cicd 위해 맞춤 구성해보자! 사전 설정은 맞춤 구성으로 하자 여기서..! 서비스 역할을 만들어야 한다. (IAM)\ IAM은 일차적 방어막(최소한의 기능)으
persi0815.tistory.com
'Dev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 Load Balancer] HTTP로 요청시 HTTPS로 리디렉션 & Swagger에서 HTTPS 요청(springdoc) (2) | 2024.07.17 |
---|---|
[RDS] dev, release db 만들기 (0) | 2024.07.10 |
[Elastic Load Balancer] ACM과 ELB 이용한 HTTPS 설정 (0) | 2024.07.09 |
[EB / CICD #3] 코드 작성, PR, Merge + 도메인 설정 (0) | 2024.07.09 |
[EB / CICD #2] Elastic Beanstalk 설정 (+IAM) (0)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