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5 프로그래밍 입문3

[Spring] 빈 라이프 사이클과 범위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챕터 5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Spring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가 빈(Bean)의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한다. 빈(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을 따르며, 객체가 생성된 후 초기화되고, 컨테이너가 종료되면 소멸된다. 또한, 스프링 빈의 범위(Scope) 에 따라 동일한 객체를 공유할 수도 있고, 새로운 객체를 매번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스프링 빈의 라이프사이클과 범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1.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의 라이프사이클스프링 컨테이너의 역할스프링 컨테이너는 설정 클래스를 읽어 빈 객체를 생성하고, 각 빈을 연결(의존 주입)하며,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한다.즉, 스프링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에 따.. 2024. 12. 10.
[Spring] 컴포넌트 스캔(자동 빈 등록 과정)이란?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챕터 4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컴포넌트 스캔이란? Spring에서는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빈(Bean) 으로 등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개발자는 설정 클래스에서 @Bean을 사용해 직접 등록할 수도 있지만,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 을 활용하면 더욱 자동화된 방식으로 빈을 등록할 수 있다. 컴포넌트 스캔은 스프링이 특정 패키지를 검색하여 @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를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하는 기능이다. 즉, 개발자가 일일이 설정 클래스를 만들지 않아도 스프링이 알아서 클래스를 검색하여 빈으로 등록해주는 자동 빈 등록 방식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개발자는 쉽게 빈을 등록할 수 있으며,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가독.. 2024. 12. 5.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 주입이란?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챕터 3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Dependency(의존)이란? : 변경에 의해 영향을 전파받는 관계로,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메서드를 실행할 때 ‘의존’한다고 표현한다.  의존하는 객체를 구하는 방법의존하는 대상이 있다면, 그 대상을 구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가장 쉬운 방법으로 의존 대상 객체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1. 직접 생성pulbic calsss MemberService{ // 의존 객체 직접 생성 private MemberDao memberDao = new MemberDao(); ..}MemberService sc = new MemberService(); new MemberService()를 호출하면 MemberService.. 2024.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