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4 [Github Action] appleboy 사용 시 남을 수 있는 Drone SSH 임시 환경변수 삭제 기존 배포(CI/CD) 로직GitHub Actions 에서 main 브랜치로의 push를 감지→ jar build→ dockerfile을 통해 docker image 생성→ 해당 이미지를 AWS ECR에 업로드 (latest 태그)→ AWS EC2에 SSH Connection→ .env 파일 echo로 설정하고 ./deploy.sh 실행docker compose pull: ECR에서 최신 이미지 pulldocker compose down: 기존 컨테이너 종료 및 삭제docker compose up -d —build: pull 받은 최신 이미지를 기반으로 백그라운드 실행(docker image rm $(docker images -q) || true): 안 쓰는 이미지 제거위와 같이 배포가 되는데,해당 과정.. 2025. 6. 14. [Cache] 캐시 전략 5가지 캐시란 무엇인가? 캐시란 데이터를 빠르게 읽어오기 위해 저장해두는 저장소입니다. 값 비싼 연산 결과 또는 자주 참조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안에 두고, 뒤이은 요청이 보다 빨리 처리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이 매번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면 속도가 느린데, 캐시에 저장해두면 빠르게 응답이 가능합니다.그래서 얼마나 빨라지는데?? 궁금했는데 위 사진과 같은 속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흔히 쓰이는 Redis는 읽기에 100ns가 걸리는 반면, PostgreSQL은 삽입에 1ms가 소요되네요. 캐시에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습니다.L1/L2/L3 캐시는 CPU 내부에 존재하는 초고속 메모리이고, 그 다음 계층인 RAM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메모리입니다. JVM 힙 메모리는 RAM 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사.. 2025. 5. 14. [논문리뷰] KET-RAG: A Cost-Efficient Multi-Granular Indexing Framework for Graph-RAG 기존에 발생했던 문제1. 일부 기존 Graph-RAG 시스템은 청크 간 관련성에 기반해 KNN 그래프를 구성하지만, 해당 방식은 텍스트 내부의 엔티티 관계를 포착하지 못해 검색 효과성이 제한되고, 생성된 답변 품질이 저하된다.* KNN(K-Nearest Neighbors) 그래프는 텍스트 청크간 의미적 유사성과 관련성을 가지고 연결됨.→ 최근 텍스트 내부의 엔티티 관계(Triple) 포착하여 엔티티 채널 그래프 구성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 2. 텍스트 청크로부터 엔티티와 관계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triple 지식 그래프를 구성하는 방식은 대규모 문서 집합에 대해 인덱싱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KG를 정교하게 만들기 위해선 모든 chunk를 LLM에 보내 triple을 추출해야 하는데, 문서량.. 2025. 4. 30. [논문 리뷰] Chain-of-Thought Prompting Elicits Reasoning in Large Language Models 논문 요약Chain-of-Thought(CoT)는 언어 모델이 정답만 바로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서술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마치 사람처럼 사고의 흐름을 언어로 풀어내는 방식이다. 기존의 언어 모델은 복잡한 문제에서도 중간 추론 없이 바로 답을 출력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로 인해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CoT는 프롬프트에 추론 과정을 담은 예시를 몇 개 포함시켜, 모델이 생각 흐름을 따라가며 답을 내도록 만든다. 이를 통해 수학, 상식, 기호 조작 등 다양한 과제에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큰 모델일수록 효과가 두드러진다. 논문 설명1. 논문 선정 배경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에서 삼중항(Triple) 관계를 추출해야 했지만, 구조화에 강점을.. 2025. 4. 15. [백준/C++] #1744 수묶기 (Greedy)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744 풀이 (37m / 한번에 x) 수들끼리 짝지어서 곱해 더할 수도 있고, 그냥 더할 수도 있는데, 합이 최대가 되도록 해야했다. 생각났던 로직 순서대로- 가장 큰 양수부터 시작해서 두개씩 짝지어서 곱해서 더함- 양수의 개수가 홀수라면 남은 양수는 그냥 더함- 1은 다른 양수랑 곱해서 더하기보다 그냥 더하는게 더 커지니 따로 그냥 더함- 0도 있고 홀수도 있다면, 0 개수만큼 가장 작은 홀수들 부터 없애기+) 음수가 2개 이상이라면 0이랑 상쇄시키기보다 일단 가장 작은 홀수들부터 두개씩 곱해서 양수 만들기+) 음수가 홀수개이고, 0이 있다면 마지막으로 가장 큰 음수는 0이랑 상쇄시키기. 0이 없다면 그냥 더하기 생각보다 예외 케이스들이 바.. 2025. 3. 26. [Network] CH6. 웹 서버에 도착하여 응답 데이터가 웹 브라우저로 돌아간다.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목차서버의 개요서버의 수신 동작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리퀘스트 메시지의 의미를 해석하여 요구에 응한다. 웹 브라우저가 응답 메시지를 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패킷은 웹 서버 앞의 방화벽, 캐시 서버, 부하 분산 장치를 통과한 후, 웹 서버 안으로 들어가는데, 해당 내용에 대해 다루려 한다.1️⃣ 서버의 개요 (구조)서버는 동시에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통신 동작을 실행한다. 다만,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여러 클라이언트들의 상대를 처리하는 것은 각 클라이언트와의 대화 진행 상황을 파악해야 하기에 어렵다. -> 그래서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마다 새로운 서버 프로그램을 작동하여 서로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와 1대1로 대화한다. 서버 프로그램은 접.. 2025. 2. 24. 이전 1 2 3 4 ··· 19 다음